2025/04/10 4

당뇨 어르신의 식사 전후 상태 기록과 응급 대응 연계법

당뇨 어르신 돌봄은 관찰, 기록, 대응의 ‘3단 연계’가 핵심이다고령 어르신 중 당뇨병을 앓는 분들은 매우 많다.하지만 그 관리 방식은 단순한 식사 조절로 끝나지 않는다.혈당은 식전·식후 상태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며,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사소한 증상이실제로는 응급 상황의 전조일 수 있다.요양보호사로서 나는 “밥 잘 드셨는지”보다“식사 전 표정과 말투, 식후 반응의 차이”를 먼저 본다.이 글은 내가 실무 중 직접 경험한 당뇨 어르신의 혈당 변화에 따른 식사 기록법과 응급 연계 방법을 바탕으로,요양보호사라면 반드시 알고 실천해야 할 정밀한 관찰 포인트와 기록법을 정리한 것이다.생명에 가장 가까운 돌봄은 기록에서 시작되고,위기를 막는 대응은 사소한 변화의 발견에서 비롯된다.식사 전 상태관찰: 당뇨 어르신의..

구강 상태가 식사량에 미치는 영향과 실무 관리하는 법

구강 건강은 어르신의 삶을 바꾸는 작은 열쇠다고령 어르신의 영양상태는 단순히 음식 섭취량만으로 판단할 수 없다.어르신의 식사량 감소는 종종 기력 저하나 입맛 때문으로 여겨지지만,실제로는 구강 상태의 문제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다.치아 통증, 잇몸 염증, 의치의 불편감, 구내염, 심지어는 입안 건조까지—이 모든 요소가 식욕 저하로 이어지고, 장기적으로는 체중 감소, 영양실조, 면역력 저하까지 불러온다.나는 실무 중 “어르신이 식사를 잘 안 하신다”는 기록을 볼 때마다먼저 어르신의 입 안을 살피는 습관이 생겼다.이 글은 내가 현장에서 경험한 어르신의 구강 상태와 식사량 변화의 연결고리,그리고 실제 실무에서 요양보호사가 어떻게 구강 관리를 적용하고 있는지를요양보호사 실무 중심으로 정리한 글이다.식사는 곧 생명이..

고령 어르신의 무기력 증상과 프로그램 참여 유도 기술

무기력은 어르신의 ‘마음이 문을 닫는 신호’다고령 어르신의 무기력은 단순히 "움직이지 않으신다"는 말로는 설명되지 않는다.그 무기력의 이면에는 외로움, 상실감, 신체적 쇠약, 역할 상실에 대한 허탈함이 함께 얽혀 있다.요양보호사로 일하면서 나는 “오늘은 아무것도 하기 싫어요.”라는 어르신의 말에 담긴 감정을 읽는 법을 배웠다.그 말은 “나를 이끌어 주세요” 혹은 “그냥 함께 있어 주세요”라는 비언어적 요청일 수 있다. 특히 반복되는 하루 속에서 정서적 활력을 잃은 어르신은 프로그램에도 점점 관심을 잃고,신체 활동이나 대화 참여조차 거부하는 경우가 많다.이 글은 내가 현장에서 겪은 어르신 무기력 대응 사례와,프로그램 참여 유도 기술을 통해 어떻게 다시 웃음을 되찾아드릴 수 있었는지를 나누고자 한다.요양보호..

치매 어르신 공격성 발현 대응 대화 기술 케이스 분석

치매 어르신의 공격성, 단순한 ‘화’가 아니다요양보호사로 일하다 보면 치매 어르신의 감정 기복이나 공격성을 마주하는 일이 잦다.그러나 그 공격성은 단순한 화, 짜증, 반항이 아니다.기억의 혼란과 공간 감각의 왜곡, 자신이 놓인 상황에 대한 두려움이 겹쳐져 나오는 혼합된 감정 반응이다.나는 실습 초기 한 어르신이 갑자기 내 손을 뿌리치며 “나를 해치려는 거 아니냐?”고 소리치는 장면을 보고 당황했었다.그때 나는 반응하지 못했고, 상황은 더 악화되었다.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알게 되었다.치매 어르신 대응은 ‘설득’이 아니라, 공감과 안정감을 먼저 주는 대화 기술이라는 것을.이 글은 내가 겪은 실제 케이스를 바탕으로,공격성이 발현된 상황에서 어떤 대화와 태도가 효과적인지를 정리한 실무형 사례 분석이다.요양보호..